클라우드 개념
인터넷 상을 통해서 스토리지 네트워크 가상머신에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서 컴퓨팅 리소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
3가지 유형으로 나뉘어볼수 있음
클라우드 이점
내결함섬(fault tolerance) : 백업, 고가용성(시스템을 여러개 배포 후 하나의 시스템이 다운되면 다른 시스템으로 구현)
고가용성은 다운타임을 최소화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어떻게하면 이 서비스를 오랜시간 운영할 수 있는지
시스템이 있으면 중복된 시스템을 만들고 하나의 시스템이 중지되더라도 다른 하나가 연속되게 유지시키다
서비스의 업타임을 향상
탄력성: 확장을 함에 있어서 자동으로 늘어났다 줄었다
확장성은 항상 자동이 아니어도 된다
필요할 때마다 컴퓨팅을 생성하고 처리
핵심 AZURE 서비스
어느지역에 vm을 두고 싶나? 한국 중부 한국 남부에 둘수 있다 미국 동부나 여러지역을 선택할 수 있다.
한국 중부지역에 vm을 두면 데이터 센터를 둔다. 세개의 데이터센터만 그려본다.
web vm을 첫번째 데이터센터에 첫번째 서버위에 올려 놓는다.(이건 ms가 한다)
또 다른 vm을 올려놓는다.
한개 이상의 데이터 센터로 이루어짐 그 둘은 가깝게 위치해있다.
네트워크를 최적화하여 지연이 거의 없다.
가용성: 첫번째 데이터 센터가 불이 나면서 서비스가 중지된다.
지역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난 복구 기술(DR)을 생성한다.
영어로 Pair Region
가상머신만 만드는게 아니라 네트워크도 만들고 스토리지도 만든다.
논리적인 구독이라는게 없으면 리소스를 만들 수 없다.
구독은 약속한 것
구독이 있어야지 리소스를 만들 수 있다.
구독 단위로 MS는 과금을 한다.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 대해서만 구독에 들일 수 있다.
청구의 단위가 되기떄문에 접근제어의 단위가 된다.
관리를 편하게 하기 위해 리소스그룹을 나눈다.
같은 일을 하는 리소스끼리 모아두거나 같은 형태의 리소스끼리 모아둔다.
리소스 그룹을 통해 관리를 편하게 할 수 있다.
한번에 리소스를 지울 수 있는 등
구독은 청구의 단위이기 때문에 프로젝트 별로 budget이 다르다.
한명의 사용자가 여러명의 구독에 관리
구독을 용이하게 관리하기 위해 -> 관리 그룹 구독들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게 제공해준다.
관리 용도로 관리 그룹을 사용한다
단일 vm이게 하더라도 보장한다 99.9% 프리미엄의 경우
가용성 영역이나 집합을 만들고 배포
데이터 센터를 분리해서 다르게 하면 연결 가용성을 늘릴 수 있다.
데이터 센터 장애로부터 자유로워진다.
DR 구성을 통해 가용성을 높임
관리그룹을 통해 한꺼번에 권한을 설정하고 관리한다.
핵심 AZURE 서비스
가용성 집합: 가용성 영역이 데이터 센터 구분, 집합으 하나의 데이터 센터에서 물리 서버 랩들을 분리
논리적인 아키텍쳐 구성요소
물리, 지역 가용성 옵션 세팅후
윈도우 이미지 선택 후
적절한 크기 선택
이름 비밀번호
포트 설정
다른 것은 기본값
vm을 꺼놓으면 스토리지 이미지만 사용
꺼져있을때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PaaS 대표적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배포 관리할 수 있다.
쿠버네티브 오픈소스를 올려놓은거
vpn gateway는 인터넷 구간을 암호화해서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해준다.
가상 네트워크
가상 네트워크 위에 vm을 올린다.
동일한 지역을 선택해야한다.
티어링
각각 티어별로 과금을 다르게 하고 비용을 최적화할수있도록 액세스 계층 제공
지역 중복은 동일한 것을 하나 더 복제를 한다.
SAS 키 생성
http를 통해 올린 이미지에 접속을 할 수 있다.
Paas 형태로 제공,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crosoft Azure Fundamental - 3 (0) | 2021.08.17 |
---|---|
Microsoft Azure Fundamental - 2 (0) | 2021.08.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