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Oracle10

[Oracle] 오라클 PL/SQL 구조 PL/SQL 구조PL/SQL은 데이터베이스 관련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어와 실행에 필요한 요소를 정의하는 명령어들로 구성됩니다. 이 명령어들을 모아둔 기본 단위가 블록(block)입니다.블록의 구성 키워드는 다음과 같습니다:DECLARE(선언부): 실행에 사용될 변수, 상수, 커서 등을 선언하는 부분 (선택)BEGIN(실행부): 조건문, 반복문, SELECT, DML, 함수 등을 정의하는 부분 (필수)EXCEPTION(예외 처리부): 실행 도중 발생하는 오류를 해결하는 문장을 기술하는 부분 (선택)작성된 PL/SQL 블록은 END 키워드로 종료를 명시합니다. 기본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DECLARE [ 실행에 필요한 여러 요소 선언 ];BEGIN [ 작업을 위해 실제 실행하는 명령어 ];EXC.. 2024. 6. 18.
오라클 커서 사용법 : 명시적 커서와 묵시적 커서 SQL문을 실행할 때, 커서(cursor)는 해당 SQL문을 처리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합니다. 이 메모리 공간은 Private SQL Area라고 불리며, 커서는 이 메모리의 포인터를 가리킵니다. 커서를 사용하면 실행된 SQL문의 결과 값을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여러 행이 조회되는 경우 각 행별로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1. 커서란?커서는 SQL문을 처리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의 포인터입니다. 이를 통해 SELECT문이나 데이터 조작어(DML) 같은 SQL문의 결과 값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커서는 명시적 커서와 묵시적 커서로 나뉩니다.2. 명시적 커서명시적 커서는 사용자가 직접 선언하고 사용하는 커서입니다. 다음은 명시적 커서의 사용 단계입니.. 2024. 6. 11.
[ Oracle ] 조건별로 우선 정렬하기 ORDER BY DECODE/CASE 조회 쿼리를 이용 할 때, 단순히 오름차와 내림차순 정렬이 아니라 정렬을 하되 우선적인 값을 제일 상단에 조회하고 그 후 정렬을 하던지 등 원하는 특정 조건을 기준으로 잡아 정렬을 해야하는 경우가 있다. 방법은 그리 복잡하지 않으니 예제를 보면서 이해해보도록 하자. 먼저 아래와 같은 주문테이블이 있다고 가정한다. CREATE TABLE 주문테이블 ( 주문일자 VARCHAR2(200 BYTE), 주문상품 VARCHAR2(200 BYTE), 주문상태 VARCHAR2(200 BYTE) ); INSERT INTO 주문테이블 (주문일자, 주문상품, 주문상태) VALUES ('2021-01-20', '삼겹살' , '배송중' ); INSERT INTO 주문테이블 (주문일자, 주문상품, 주문상태) VALUES ('20.. 2022. 4. 29.
[Oracle] With절 사용법 및 예시 (임시 테이블) WITH절 이란 WITH절은 오라클9 이후 사용이 가능한 이름이 부여된 서브쿼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임시테이블을 만든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VIEW와 쓰임새가 비슷하지만, VIEW는 한번 만들어 놓으면 DROP 할 때까지 없어지지 않지만 WITH절 같은 경우 한번 실행할 쿼리문내에 정의되어 있을 경우, 크 쿼리문안에서만 실행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WITH절을 사용하는 이유 WITH절은 복잡한 SQL에서 동일 블록에 대해 반복적으로 SQL을 사용하는 경우 그 블록에 이름을 부여하여 재사용 할 수 있게 함으로 쿼리 성능을 높일 수 있는데 WITH절을 이용하여 미리 이름을 부여해서 Query Block을 만들 수 있습니다. 자주 실행되는 경우 한번만 Parsing되고 Plan 계획이 수립되므로 쿼리의 성.. 2021. 11. 26.
728x90